반려견의 유전병은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달되는 증상입니다. 이러한 질병은 품종견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종 특이성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질병의 위험과 질병의 검사
유전자 풀이 적고 근친교배가 만연했던 과거에 태어난 품종견은 교잡육종을 한 품종보다 유전병이 더 잘 발생하게 됩니다. 교잡육종은 질병의 위험성을 줄일지는 모르겠지만 원인 유전자는 어느 한 부모에게서 물려받을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검사는 유전병의 발생률을 줄이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고관절, 주관절 이형성증은 방사선 촬영을 통해 해당 질환을 검사하게 됩니다. 과거 PRA나 CEA 같은 눈 질환은 진찰을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었으나 DNA 검사법의 출현으로 PRA나 CEA 외 다른 여러 유전병을 진단할 확률이 높아졌습니다.
고관절, 주관절 이형성증과 대동맥 협착증
고관절, 주관절 이형성증 두 증상은 중형견과 대형견에서 주로 발생하는 유전 질병입니다. 이형성증이 있으면 골반이나 팔꿈치의 구조적 결함으로 관절이 불안정해져서 고통과 절뚝거림을 유발합니다. 진단은 해당 개의 병력과 관절 구동 상태, 방사선 촬영을 종합하여 이루어집니다. 치료법은 통증 완화, 운동 줄이기, 적정 체중 유지가 있습니다. 인공고관절치환술 등 여러 가지 수술 방법도 있습니다. 이형성에 취약한 품종들은 일정 연령 주로 1세 이상이 지나면 고관절이나 주관절 이형성증을 조기에 진단하기도 합니다. 고관절 이형성증이 발생하는 품종이라면 번식용으로 쓰기 전에 선별이 권장됩니다. 이 검사에서는 개의 방사선 촬영 결과를 토대로 점수를 매깁니다. 힙 스코어링이란 고관절은 개를 뒤로 눕히고 뒷다리를 쭉 뻗은 상태로 방사선 촬영을 합니다. 정확하게 검사하기 위해 개에게 진정제를 투여해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기도 합니다. 고관절은 여섯 가지 인자를 각각 정상에서 심함까지 평가를 합니다. 이 방식으로 각 고관절은 최대 53점이 나오는데 점수가 낮을수록 좋습니다. 양쪽 고관절의 점수를 더하면 총점이 나오게 되는데 번식용으로 선발한다면 해당 품종의 평균점보다 총점이 낮을수록 가장 좋습니다. 대동맥 협착증은 태어날 때부터 지니는 선천성 질환으로 심장 대동맥 판막이 좁아지는 현상입니다. 증상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고 수의사가 강아지를 청진할 때 들리는 잡음으로 장애를 발견하게 됩니다. 방사선 촬영, 초음파, 심전도 검사로 추가 조사를 할 수 있지만 수술 치료가 쉽지 않아서 모니터링에 치중하는 편입니다. 일부 품종은 대동맥 협착증에서 울혈성 심부전으로 발전합니다.
혈액응고 질환과 눈 질환
사람과 동물에게 가장 흔한 혈액응고 질환은 혈우병으로 혈액응고에 필수적인 인자가 부족해서 반복성 출혈을 일으킵니다. 원인이 되는 이상 유전자는 발병한 수컷이 암컷 자손에게 전달할 경우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암컷은 유전자를 보유하게 됩니다. 혈우병은 품종견과 교잡종에서 모두 발견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유전성 혈액응고 질병인 폰 빌리브란트 병은 암수 무관하게 다양한 품종에서 발생합니다. 일부 품종에서는 DNA 검사가 가능합니다. 개에서 비교적 흔하게 나타나는 유전성 눈 질환은 안검내번증이 있고 그 외 특수 방지로 내과적 검사가 필요한 질환이 있습니다. 눈 질환 중 어떤 품종이나 교잡종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질병으로 진행성 망막위축증(PRA)이 있습니다. 이 질병은 눈 뒤쪽에 빛 수용세포가 분포하는 망막이 퇴행해서 시력을 잃습니다. 보호자는 개가 시야 문제를 보일 때 PRA를 인지해야 하며 초기에는 밤에만 증상이 나타납니다. PRA는 검안경을 사용한 망막 검사로 진단하며 수의사는 더 전문성 있는 조사 방법을 제시하기도 할 것입니다. 치료법은 없으며 한번 진행된 시력 상실은 영구적입니다. 일부 품종에서는 DNA 검사가 가능합니다. 여러 콜리 품종 중 스무스콜리, 보더 콜리, 셰틀랜드 쉽독, 오스트레일리언 셰퍼드와 같은 다른 일부 품종에서 콜리 안구 기형 CEA 가 발생합니다. 이는 눈 뒤에 있는 맥락막 조직의 이상이 원인입니다. CEA는 출생 이후 확인이 가능하며 강아지는 3개월령이 되기 전에 검사를 받습니다. 가장 경미한 CEA는 시력에 거의 영향이 없지만 중증일 경우 실명될 수도 있습니다. 현재는 DNA 검사도 가능합니다.
'반려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친 강아지 응급처치 하기와 소생법 (0) | 2022.07.23 |
---|---|
개 기생충 종류와 예방하기 (0) | 2022.07.21 |
개 건강의 문제 초기에 알아채기 (0) | 2022.07.21 |
강아지의 첫 건강검진과 후속 검진 (0) | 2022.07.20 |
반려견 문제 행동인 과도한 짖음과 공격성 (0) | 2022.07.17 |